본문 바로가기

TIL

(28)
[SOLVED] ConflictingBeanDefinitionException 문제 💡 java 파일을 특정 패키지로 이동 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방법: 1. out 폴더에서 중복된 자바 파일 삭제 2. gradle > clean - build 실행 1. out > produciton > classes > 폴더 이동으로 인해 복제되거나 새로 생긴 클래스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HomeController 2.java가 생겼었다.) 2. gradle에서 clean 실행 gradle에서 build 실행 💭 리뷰 모듈화를 위해서 파일들을 새로 만든 패키지로 이동시켰다. 전에는 패키지를 이동할 때 문제가 생기지 않았어서 어디서 문제가 발생건 지 몰랐다. 실행 시 자꾸만 서버가 켜지지 않아서 localhost:8000 접속이 되지 않았다. 아마도 gradle을 빌드하면서 오류가 발생한 것 같다..
TDD 방식으로 자바 연습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Equals()와 == 연산자 객체를 비교하는 equals()와 == equals() 와 == 는 객체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두 연산자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어떻게 다른 것일까? 아래에서 살펴보자. 1. == 자바에서 == 연산자는 객체의 주소값을 비교한다. 두 개의 객체가 메모리 상에서 동일한 위치(주소)에 있는지를 비교한다. 즉, 두 개의 객체가 정확히 같은 객체인지를 판단한다. 2. equals() equals() 메소드는 두 객체가 동등한지를 비교한다. 객체의 내용이 같은 경우에 동등하다고 판단한다. 두 객체가 같은 내용을 가졌더라도 메모리 상에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 연산자와 다르게 객체의 주소값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리 == 연산자는 객체의 주소값을 비교하는 것이고, equals()는..
DB와 DBMS, 그리고 SQL 명령어 모음 DB(DataBase)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들의 모임 즉, 관련된 데이터의 모임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4가지 Integrated data(통합 데이터) : 중복 최소화, 통제가 가능한 중복만 허용 Shared data(공유 데이터) :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 Operational data(운영 데이터) : 조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Stored data(저장 데이터)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특징 Continuous evolution 계속 변화 : insert, delete, update Real-time accessibility 실시간 접근성 :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에 실시간으로 응답 C..
main 브랜치에서 push가 안 된다고요? - 로컬 변경사항 병합 상황 : 1. 다른 컴퓨터(window/jh)에서 작업한 후 PR까지 하고 작업을 마쳤다. 2. 원격 컴퓨터(main)에서 미처 작업하다가 업로드 하지 못한 파일들을 그대로 push했다. 3. 사진과 같은 오류가 발생 이 오류는 로컬 브랜치에서 수정한 내용이 병합하려는 원격 브랜치에 이미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 삽질 과정 : 1. 로컬 변경 사항 저장하고 커밋 git add . git commit -m "Save local changes" 2. 변경된 파일을 stash에 저장 git statsh save 3.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 git fetch 4. 로컬 브랜치를 원격 브랜치와 병합 git merge origin/main 5. 오류 발생 Auto-merging .idea/compiler.xml C..
DB가 DBMS랑 다른 개념인가요? 그렇다면 RDBMS는요? 잘 들어오셨습니다!!! DB와 DBMS는 서로 다른 개념 입니다.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DBMS를 사용하여 DB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 1. DB와 DBMS는 다른 가요? DB(Database)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체계화된 방법이나 데이터의 집합 자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엑셀 시트나 텍스트 파일 등의 데이터 파일도 DB의 일종인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의미한답니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란? DB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데이터를 관리하고, 조작하며, 보호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DB의 구조, 스키마, 인덱스 등을 ..
DML과 DDL DML과 DDL은 모두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DM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고 DDL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및 삭제하는 데 사용 종류 SELECT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검색 INSERT :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 UPDATE : 데이터 수정 DELETE : 데이터 삭제 실행 순서 FROM, JOIN ON, WHERE → 2차 테이블 생성 GROUP BY AGGREGATE → 3차 테이블 생성 HAVING → 4차 테이블 생성(HAVING 작업이 있을 경우에만) ORDER BY LIMIT DDL(Date Definition L..
Index(색인) 인덱스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열(Colunm)에 대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다. 쉽게 말해, 데이터베이스 내의 테이블에서 특정 열에 대한 검색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인덱스를 사용하면 데이터 검색이 빨라지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징 인덱스는 해당 열에 대한 정렬된 목록을 만든다. 인덱스를 생성하면 검색 속도가 향상된다. 인덱스는 디스크 공간을 추가로 사용한다. 적절한 열에 대해서만 인덱스를 생성해야 한다. 인덱스를 지나치게 많이 생성하면 데이터 입력 및 삭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역효과 발생 가능) 데이터베이스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 인덱스 업데이트 작업이 수행된다. 칼럼에 인덱스를 거는 것에 대한 장단점 장점 : SEL..